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AWS
- Husky
- HikariCP
- RDS
- githook
- ec2느릴때
- rds이관
- uncontrolledinput
- controlledInput
- 커넥션풀
- springboot
- linux
- SIGNAL
- ec2
- 리눅스시스템프로그래밍
- ReactHookForm
- aws이관
- http응답느릴때
- 오픈소스
- 오픈소스기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Husky (1)
jjungking

왜 커밋 메세지 끝에 이슈번호가 필요할까? 이슈번호, 커밋번호가 1000번대가 넘어가면 커밋이랑 이슈번호를 연결하지 않으면 로그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인턴 생활을 하면서 회사 이슈번호가 2300번대가 넘어갔는데, 이 git history를 추적하기 위해 커밋 메세지 어미에 (#2417) 이런식으로 이슈번호를 붙였다.근데 매번 이걸 커밋할때마다 붙여주자니, 너무 귀찮았다!! 자동화할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Githook과 Husky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붙여줄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Githook Git과 관련한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할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commit,merge,push시 팀 내 Git convention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작업을 중단하게..
Git
2025. 4. 29. 20:57